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86)
애플 TV의 무서움. 출처 : http://health20.kr/1812 아이패드가 TV 보는 습관을 어떻게 바꿀까? 위의 출처를 보시면 TV는 너무 일방적으로만 정보를 전달했습니다. 내가 TV채널을 돌렷을때 앞에서부터 볼수도 있지만 대부분 중간에서부터 본다면 무슨 내용인지를 모르기 때문에 지나쳐 버리죠. 혹은 알고싶은 ost, TV속에 나오는 제품의 이름,상표,가격 지금 나오는 인물이 누구인지. 저희는 알수가 없습니다. 지금은 IPTV라 하여 골라보는 채널이 있지만 정보성의 한계는 여전합니다.(원하는 시간대에 골라볼수만 있는것 뿐이죠.) 아이패드, 혹은 타블랫 형태의 기기 들이 TV의 일방성을 바꿀수 있다면?! 단순한 정보만으로 줄수 있는것으로 시작해서 엄청난 변화가 일것으로 예상됩니다. 애플TV를 보십시요. 원하는 프로그..
TED 잔 칩체이스의 휴대폰에 대하여 우리는 휴대폰을 왜 가지고 다니는가?! 그리고 앞으로의 휴대폰은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 지금의 우리들에 만들어지지만 나머지 30억명의 의해서 평가될 미래의 휴대폰은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용이 아닌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할수 있는 기계를 넘어선 표현의 방식으로 나아갈지도 모른다.
TED 미래 휴대전화의 변화 마지막 세번째는 정말 기발하다! 단순한 휴대용 기기가 아닌 하나의 생명을 창조하는 시대가 온다.
JSP Statement PreparedStatement 1 . statement statement 객체는 statemen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로 항상 인수가 없는 Connection 클래스의 createStatement() 메소드를 호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일단 statement 객체를 생성하면 statement 객체의 executeQuery() 메소드를 호출하여 sql 질의를 실행시킬수 있다. 메소드의 인수로는 sql 질의의 문장을 담은 String 객체를 전달한다. statement 객체는 단순한 질의문을 사용할 경우에 좋다. private Connection con; private Statement stmt; public Vector connetctionStatement()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
JSP JFreeChart 사용하기 - PIE 나중에 그래프를 이용한 실시가나 통계표나 월결산 같은걸 만들어 봐야겠다.ㅎ 출처 : http://micropilot.tistory.com/82 출처에 나와 있는것을 DB에 연동 시킨것에 불과하다. 1. 먼저 해당 프로젝트의 web-inf->lib 에 jfreechart.jar , jcommon.jar 파일을 넣는다. 파일은 요기->http://www.jfree.org/jfreechart/download.html 2. 그림을 저장한다음 웹에 띄우는 방식인데, 자바라이블러리를 활용하여 새창으로 띄우는것과 웹상에서 제작한다음 이미지로 띄우는것이 있다. 나는 웹에서 이미지로 띄우는 것으로 햇다. PIEchart.jsp 보는바와 같이 contentType 가 이미지로 되어 있는것을 볼수 있다. 현재 나의 프로젝트..
TED 앞으로의 10년은 게임 레이어 세상이다. 쿠폰을 그렇게 열정적으로 모았던것도, 누구보다 높게 올라가고 싶었던것도, 목적과 행동이 뒤바뀌게 된것도 모두 게임 역학이라면 그것을 이용할수 없을까?!
오?! 이제 변하기 시작한 웹주문 오랜만에 책을 지를까 하고 자연스럽게 크롬으로 들어가서 나도 모르게 주문 결제 버튼을 눌을 려는 순간! ?????????????????????????????????????????????????????????????????????????????????????????????? 어....결제가 되네?! 크롬에서?! 위의 화면이 크롬으로 들어갔을때의 화면입니다.(인터파크 서점입니다.) 보시면 결제방법에서 계좌이체와 휴대폰으로 할수 있다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계좌이체도 무통장입급 신청은 되지만 실시간 계좌이체는 되지 않더군요.. 역시) 익스플로로 들어가 봤습니다. 위의 화면이 익스플로로 들어간 결제 라인입니다. 신용카드가 추가 된것을 볼수 있습니다. 그나마 크로스브라우징때문에 대규모 유통사들이 많이 바뀐듯합니다..
창의성? == 리서치! 우연히 보게된 패션스쿨을 가다. 첫편 벨기에 앤트워크 편에선 최고가 되기 위해 끝임없이 노력하는 자랑스런 우리나라 학생들이 보였다. 누구보다 뒤쳐지지 않기 위해. 최고가 되기 위해 그들 스스로 벼랑 끝으로 몰아세우고 자신에게 없을지도 모를 잠재력을 계속해서 발휘한다. 한계가 올때마다 그들은 더욱 한계를 올리는것. 두번째 세이트 마틴 편에선 학생들보다 학교가 눈에 들어왔다. 최고를 가르치기 위해서 학생스스로 알아야 한다는것. 모든것을 알고 있을때 새로운 것이 나온다는것. 그리고 그것을 알기 위해서 방향을 제시하는게 아닌 방향이 있다는것만 알려주는것. 누구나가 가지고 싶어하는 창의적인 상상력은 사실은 별게 아닐수도 있다. 단지 우리가 노력을 않했을 뿐일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