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86)
JSP excel 소수점 변환 문제! (excel format 문제!) JSP에서 excel 변환문제는 여러 포스트에서 볼수 있다.(나도 몰라서 쉽게 찾아서 했다.) 현업에서 단가를 소수점 까지 나타내 달라는 요청이 왔는데. JSP에선 간단하게 sql에서 값을 double로 받고 그대로 뿌려주면 끝났었다. BUT 문제는 InsertComma()! excel에선 InsertComma()를 쓰고 서식을 보게 되면 (셀서식->범주) 만일 단위가 100단위인 경우엔 InsertComma()가 적용되지 않아서 일반으로 되고, 1000단위 이상은 숫자로 되어 자릿수를 표기하는것을 볼수 있다. - 사실 여기 까지 알아내는데 하루가 걸렸다. 왜 엑셀로 변환하면 않되는지 몰라서 계속 소스만 보다가 단위문제인것을 알았다. InsertComma가 들어갔지만 자릿수때문에 형식이 일반으로 되었다...
Toad를 이용한 엑셀 데이터 오라클에 넣기 아놔;; sqlldr (sql loder) 가 않먹힌다;; 이 많은 데이터를 일일히 칠 수도 없고.. 인터넷엔 csv로 변환한후 ctl 파일로 한다지만 난 안되기때문에 이것저것 뒤져보다가. Toad를 이용한 엄청나게 간편한 방법이 있었다 +_+ (JSP로 로또 번호를 호출할려고 데이터를 넣은 겁니다.) 1. 먼저 넣을 테이블을 만들었다. (있다면 상관없음) 2. Database -> Import ->Import Table Data 를 선택한다. 3. 자신의 넣을 스키마와 테이블 명을 선택하고 Show Data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에 속성들이 나온다. 다음 우측 하단의 Next 버튼을 클릭한다. 4. 넣을 파일을 선택한다. 나는 lotto.xlsx (엑셀 2007)로 되어있기 때문에 콤보 박스에서..
MVC 모델 순서도 프로젝트가 Model-1 에서 벗어나지를 못해서 모델에 너무나 궁금한 나머지 혼자 공부 하고 있다. JavaBean을 쓰는것 만으론 Model-1을 탈출할수가 없어서 책도 없어서 인터넷만을 뒤져서 대충 개념을 정리하고 만들어보았다. -검증은 하지 못했다. 나중에 팀장님 오시면 물어봐야지.(대충 맞는거 같은데?!) View 부분은 모두 jsp로 Controller 부분은 struts로 Model 부분은 java(bean)로 만들었다. 왜 controller을 struts로 만들어야 되는지를 하루나 고민했다. jsp가 struts로 대체하기 위해 만든것인데 왜 struts로 했을까...하고.. 결국 get 과 post방식으로 나뉘기 위함이라 정리하고 넘어가긴했다.(물어볼사람이 없어서;; 이것도 물어봐야겠다...
Scope의 유효 시간 JavaBean의 속성중 기본값인 page만 썼었는데 나머지 속성들 정리글!(그림;;)
자카르타 톰캣 과 아파치 는 왜 설치 해야하는걸까?! . 책을 읽다가 느낀건데.. 톰캣만 깔아도 JSP는 돌아간다. 근데 아파치는 왜 설치하는거지? 이상하지않아?! 모두들 톰캣+아파치+DB(오라클 or mysql) 을 깔라고 하지. 근데 톰캣만 깔아도 웹서버는 되거든?! 아파치는 왜 까는 걸까?! 톰캣과 아파치의 정의를 보면 알수 있다. 톰캣 : 서블릿 컨테이너, 자바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 개발한 AP서버. 웹 서버에서 서블릿,JSP, 빈즈와 같은 자바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 톰캣과 같은 자바엔진이 필요. 톰캣은 자바 파일만 해석할수 있다. 아파치 : 브라우저에서 처리하는 언어 html과 script만을 읽을수 있다. -아파치는 JSP, JAVA/Servlet 을 처리 할수 가 없다. 그래서 was로 넘기는데 여기서 was가 톰캣인것이다. -아파치는 html..
간단한 DB 이해(초보) -설계를 위한 논리 모델,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값으로 되어 있는 물리 모델로 나뉠수 있다. 논리 모델의 경우 물리 모델에 대한 상징적 이름이라 할수 있다. - 위와 같은 데이터의 나눔에 의해서 권한 및 속성들을 제어 할수 있게 된다. (먼 훗날 알게 될뜻.. 이해는 가는데 쿼리를 못짜겠다;;)
wibiya 삭제 wibiya는 그냥 멋으로 쓰다가 공지를 바꿀려고 하면은 왜케 느려서 바뀌지도 않는건지...그냥 사라줘줬음해 삭제는 아~~~주 간단하다;;-0-;; 괜히 HTML/CSS 설정으로 들어갔다가 잘못 삭제해서 블러그 날릴뻔했다;; (바로 5분전 일임;;) 생각을 잠깐만 해보면... 블로그의 HTML은 결국 스킨설정에서 결정이 난다는거! 스킨 설정을 다른걸로 했다가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면 깔끔하게 없어져있다.
form 태그를 이용한 간단한 파라미터 전달 test.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