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87)
Date.getYear()를 쓰지 말자. -_- 살아생전 밀리니엄버그를 여기서 만나다니;; 요즘에 퍼블리싱일도 하기때문에 브라우져 표준에 최대한 신경쓰고 있는데......!! 크롬과 사파리, 파폭에서 날짜가 이상하게 나오는것을 보고 먼가 했다.(한마디로 IE에서만 된다.) var lastymd; str = fMonth.value + "-" + fDay.value+ "-" + fYear.value; lastymd = new Date(str); //날짜 포멧에 따른 날짜 형태로 변환. //날짜 계산후 //특정 필드에 값을 집어 넣는다. order_ymd.value = lastymd.getYear()+"-"+month+"-"+day ; 아무리 찾아봐도 메소드도 맞고 IE에서는 값이 잘 나와서 날짜 계산만 보고 있었는데 이거왠;; getYear() 함..
[TED] David Pogue 의 음악전쟁. 문화체육관광부 및 방통위 사람들이 봤으면 한다. -_- 훗.
다 잊으니 꽃이 핀다 거리를 거닐다 어느 건물 입구에 앉았다 비는 하늘에서 내리는데 사람들의 바지 끝이 젖고 오후 4시인데 세상은 어둠에 젖고 우산은 두 개인데 연인들은 한 우산 속에 포개지고 시선은 거리에 있는데 마음은 너에게로 가고 낮은 지붕에 얼굴을 가린 사람들 내 눈처럼 젖어 있을까 - 물기가 있는 것들은 모두 몸을 숨긴다 '요정'시리즈의 화가 '박태' 의 그림과 감성이 실린 에세이 책이다. 책을 한장 한장 넘길때마다 작가의 작품을 볼수 있는것은 물론 짤막한 시와 글이 기다리고 있다 눈을 땔수 없게 만드는 화폭. 어지럽히듯 휘날리는 그림체는 보면 볼수록 화폭안의 사람을 생각하게 만든다. 화사한 봄날 따스러운 커피샵에 앉아서 편안하게 읽을수 있는 책. 하지만 녹아있는 깊이를 본다면 책장을 넘길수 없는 책. - 오늘 콜드..
더럽게 아펐던 일주일. -_-사람이 아프면 않된다는걸 뼈저리게 느낀 일주일이다. 몸 건강히 태어나신분들. 정말 축복 받으신겁니다. - 수술실은 다시는 들어가기 싫다.
프로젝트는 절대로 생각대로 흘러가지 않는다. 대학교 컴과를 나왔다면 소프트웨어 공학은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어떠한 형식으로 어떤 절차를 거쳐서 산출물이 나오는지 공부하는 과목이다. 그 과목시간에 대표적으로 아니 시험문제에 무조건 나오는 모델이 두가지가 있는데 1. 폭포수 모델. 2. 나선형 모델. [그림-1] 폭포수 모델의 예 [그림-2] 나선형 모델의 예 최초의 모델 설계를 기반으로 계획, 소비자의 요구분석, 그에 따른 설계, 구현과 테스트를 거쳐서 유지보수 단으로 가는 방식은 약간식 다르지만 두 모델의 흐름은 비슷하다. 이론을 들어보면 정말 맞는 이야기 같다. 저렇게 하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아니 정확히는 맞다. 하지만 프로그래머들에게 없는게 딱 두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시간과 예산. 언제나 프로젝트의 시간은 ..
인간, 조직, 권력 그리고 어느 SW 엔지니어의 변(辯) 대한민국의 프로그래머로 살고 싶은가? 개발자 포럼을 가면 왜 항상 한탄과 비명 소리만 들리는지 알고 싶은가? 실랄하고 정곡을 찌르며 실상을 써 놓은 책이 바로 이책이라 감히 말하고 싶다. 내 나름대로 여러 프로젝트를 통해서 얻은 갑과 을의 관계 그리고 한없이 머리를 숙여야만 하는 프로그래머들. 왜 관리자들과 프로그래머들은 적대관계가 되며 서로에게 모든 책임을 떠 넘기는가. 방법론은 많은데 언제나 같은것만 쓸수 있을까? 프로그램의 설계부터 개발, 테스트까지 각각의 예시를 들어가며 각 단계의 문제점과 발생가능한 상황을 상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정말 어느 문단하나 빼먹을 것없이 소중한 경험들의 산물들처럼 보이는 글귀들이다. (선배들의 생생한 프로젝트 현장을 경험하고 글을 통하여 읽기란 쉽지가 않다고 생각한다..
[설계] CRC카드 , 클래스다이어그램 요즘에 프로젝트를 하다보니 설계단에 관심이 많아졌다. 정확히는 DB설계에. 뭐 어느 프로그램이든 설계단은 거의 비슷비슷해서 크게 달라지진 않는다. 중요한건 사용자,요구자의 의견이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어떤 형식으로 풀고 어떻게 정의하였는가가 설계에서 가장 중요하다는걸 느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것이 해당 프로그래밍에 사용될 단어들. 즉 객체의 속성들일 것이다. 데브피아에 간단한 요청이 들어와서 심심풀이로 풀어보았다.(물론 틀릴수 있다는 가정하에 글을 쓴다.) 문제는 이것. imagine that you want to keep track of your library. 당신은 당신의 라이브러리 내용을 파악합니다. Each book is of a particular format (hardback, pape..
최후의 질문 - 아이작 아시모프 한글파일 영문링크 http://www.multivax.com/last_question.html 우리의 존재의 이유는 무엇인가? 우린 영원할수 있을까? 그 끝에는 무엇이 존재할까? 이 모든것의 해답은 무엇이 해줄수 있을까? 짧지만 강렬한. 소름 돋는 단편 소설. 왜 아이작 아시모프가 SF의 거장인지 느끼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