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진행중 307 status를 처음 발견해서 포스팅한다.
아래 그림을 보면 첫번째 notice/ 로 put을 날렸는데, 서버에서 307을 리턴하고
바로 다음 notice로 다시 put이 가는 상황이다.
사실 별건 아니고, 요청한 body값을 재사용하기 위한 status값으로
똑같은 body값을 반환하며 notice/ → notice 로 response headers에 location에 변경한것을 볼수 있다.

동작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결국 요청이 두번가는 것이다.
요청에 대한 사소한 실수로 “/” 를 빼면 요청이 한번만 가는것을 확인했다.
요런 사소한 실수를 없애면 더욱 비용 절감되지 않을까?
참고사항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Status/307
HTTP 307 Temporary Redirect 리다이렉트 상태 응답 코드는 요청한 리소스가 Location 헤더에 주어진 URL 로 임시로 옮겨졌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원래 요청한 메소드와 Body 를 재사용하여 요청을 리다이렉트 합니다. 여기서 메소드를 [GET] 으로 바꾸기 위해서 [303 See Oth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것은 [PUT]요청에 업로드된 리소스가 아닌 "You successfully uploaded XYZ"와 같은 확인메시지 응답을 제공 하는데에 유용합니다.
'server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fference between the Accept and Content-Type HTTP headers (0) | 2020.05.18 |
---|---|
cors 쉽게 이해하기 (0) | 2019.11.23 |
SSL / TLS (0) | 2018.12.14 |
http 통신 (0) | 2018.12.07 |
http 동작 방식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