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뇌세포덩어리""/UX

(3)
구뇌는 당신을 실망시킬 것이다. 구뇌는 간단하게 말하면 척추부터 연수 뇌교를 포함하는 뇌의 일부분이다. 척추 동물이 발생한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갈만큼 오래된 기관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구뇌의 역활은? ① 먹고싶다. ② 위험하다. ③ 번식하고 싶다. ④ 나와 같은 무리를 찾는다. 단 네가지로 연산한다. 문제는 이 오래된 기관이 우리의 통제를 벗어나는데 있다. 그리고 그것을 이용하는게 마케팅이다. 음주CF를 예로 들어보자. 술집의 포스터에 못생긴 사람이 모델로 삼은것을 본적이 있는가? 방송인 김제동님의 말처럼 "술을 마시고 있으면 포스터의 이효리가 걸어나와서 나와 함께 술을 마신다." 단지 이때문에 모델들이 이쁘다고 생각하는가? 다시 구뇌의 역활을 보자. 구뇌는 당신이 누구를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지, 누가 더 매력적인지를 재빨리 계산하다...
고민한것이 아닙니다. 이미 당신은 결정하였습니다. 선택에 대한 흥미로운 점은 우리는 선택 가능한 대안이 많아야 한다고 믿지만 실제로 대안이 많으면 의사결정이 현저하게 늦어진다는 사실이다. 대안이 몇개 되지 않는 상황에선 그 수가 가능한 한 많아지길 원하지만, 우리의 기대와 달리 많은 대안은 선택에 도움이 되지 않음이 연구로 밝혀 졌다. 이는 의식적 뇌의 작용으로, 우리가 원한다고 믿는 것이 실제로는 틀리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안이 많아진다고 해서 우리의 기대처럼 더 나은 선택을 하는 것은 아니다. 대안이 너무 많으면, 망설이다가 결국 아무것도 선택하지 못한다. 즉 "선택 가능한 다양한 대안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만 지나치게 많을 경우 우리를 압도해 아무것도 사지 못하게 만든다." 그렇다면 수많은 상품중에서 자신들의 상품을 어필하는 방법은? 그건바로 진열..
사회적 타당성 (social vaildation) 사람들의 행동을 거부하지 못하고 받아들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왜 다른이의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며 따랗는 것일까? 이를 "사회적 타당화" 라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을 독립된 사상가, 즉 남들과 구분되는 유일한 개체라고 믿고 싶어한다. 이러한 믿음과는 달리 다른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며 사회에 소속되고픈 욕구는 우리 뇌와 생태에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우리는 조화를 이루며 남들처럼 살길 원한다. 소속의 욕구가 매우 강력하기에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을때 그들의 행동을 주시한다. 이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 무의식적으로 이뤄진다. 다른 사람이 제품을 쓰면서 어떤 경험을 했는지, 웹사이트에서 무얼하는지 혹은 바로 지금 무엇을 하는 중인지 알게 되면 이를 따라 하게 된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 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