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레기장""

게임의 다른 측면.






컴퓨터 게이머들이 에이즈 바이러스(HIV)와 같은 종류의 바이러스 효소 구조를 해독해 지난 10년간 과학자들이 골머리를 앓아온 숙제를 해결했다. 생물학 전문 저널인 '네이처 스트럭추럴 앤드 몰큘러 바이올로지'는 18일 이 연구 결과를 싣고 온라인 게이머들을 이 연구 결과의 공동저자로 소개했다.
출처: 
jhttp://blog.yahoo.com/_OAEXB6VFFZLSREDVAIQ54IRD5I/articles/103072 (파리 AFP=연합뉴스)

 
게임을 단순하게 오락거리로 여긴다면 분명히 그에 해당하는 역활은 훌륭히 해 내고 있다. 
또한 모든 게임이 사람을 훈련/트레이닝 시켜서 지능 또한 높히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게임의 단순한 예를 보자.
1.새로운 학습 능력은 일정 조건이 주어줘야 한다.
2. 다른 방향을 선택했을 경우  즉각적인 피드백이 나와야 한다.
3. 피드백의 시간이 오래 걸릴경우 (대략 1분 내외) 선택의 방향성 문제와 결과의 즉효성 문제의 충돌로 같은 작
   업을 반복할수 밖에 없는 현상이 나오게 된다.

4. 보상이 확실해야 된다. 문제를 풀었을 경우/ 혹은 중간까지의 이벤트를 해결했을 경우의 보상(점수,등수,아이템 등)가 확실해 지면 더욱 강한 피드백이 완성된다.

위의 4가지 단계만으로 거의 모든 게임의 룰은 완성된다. 정말 단순하다. 행동과 피드백.

이 4가지 상황에 따라 움직이면서 사람은 일렬의 추리를 해 나아가고 있는것이다. 이 상황에서는 이렇게 해서 이런 보상을 받으며, 이렇게 하면 안된다는것을 하나하나의 학습을 통해서 배워나아간다.
학습. 게임의 단순한 학습효과로 인해서 우리는 똑똑해지는것이다.
단순히 이런 추리 학습/연습은 게임에만 국한된것이 아니다. 우리가 보는 모든 매체에서 경험할수 있는것이다.


예로 100년전과 지금의 IQ 검사 결과는 확연히 차이난다. 그동안 사람들은 여러 매체(TV,라디오,게임 등) 을 통하여 자신도 모르게 학습을 해 나가고 있는것이다.(문제는 추리 하는 능력은 높아졌으나 생활수준또한 그러한 지능을 요구 하기 때문에 우리는 느끼지 못하며, 알아도 크게 변화가 없을 정도의 지능 발전이다.)
 

게임의 다른 측면을 더욱 발단시켜 사회에 공헌이 된다면
언젠간 게임이 폭력적이고 성적이고 중독적이라 청소년들에게 나쁘다는 이야기도 없어질 날이 오지 않을까?

- 함께 읽으면 좋은책 : 바보상자의 역습 



 

'쓰레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inity Blade2  (0) 2011.12.20
노상 분노(Road Rage)  (0) 2011.12.12
우리는 정말 사용자들을 위해 일을 하는걸까?  (0) 2011.12.07
닭튀김 수렴 공식......  (2) 2011.12.02
마이 시스터즈 키퍼(2009)  (0) 2011.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