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

(71)
mail delete you have new mail in /var/spool/mail/root -_-얼레..메일이 왔네 그려.. 확인하는 방법은 커맨드 창에 mail 만 치면 된다~ 삭제는 #cat /dev/null > /var/spool/mail/root null로 덥었는구나~ㅎㅎ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using 127.0.0.1 for ServerName httpd service httpd restart 쳐보니 잘 실행은 되는데 이런 글씨가 뜬다.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s fully qualified domain name, using 127.0.0.1 for ServerName httpd 안정적으로 서버를 완전히 ServerName을위한 httpd는 127.0.0.1을 사용하여 도메인 이름의 자격을 확인할 수없습니다 거참 구글 번역 봐라...ㅋㅋ 간단하게 servername 이 지정이 않되서 이런 것이 뜬다. 해결책은 httpd.conf에 서버 이름을 써주면 끝~ ServerName 127.0.1.1 이렇게 한줄만 넣어주면 된다.
fedora APM apache mysql php 설치. 1. apache 설치(httpd) yum install httpd 2. mysql 설치 yum install mysql yum install mysql-server 3. php 설치 yum install php 여기까지 하면 php 연동은 되지만 mysql 연동은 되지 않는다. 4. php-mysql 연동 설치 yum install php-mysql 최신 리눅스들은 설치시 네트워크를 체크하면 자동으로 최신으로 업데이트되며 설치 됩니다. 5. mysql 을 초기화 mysql_install_db 를 실행하고 (어디 있는지 모르겟다면~ find 명령어로!! find / | grep mysql_install_db 수많은 블로그를 찾아다녔지만 다들 /usr/local/mysql 이 있따는데..-_-나는 없다. ..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NO) 얼씨구야..-_- APM 한번 설치할려다가 먼짓이란 말인가 -_-root 로 있는 내게 권한이 없다니!! 버르장머리없는 mysql같으니라고!! 해결책은 실행되고 있는 mysqld 프로세서를 죽이고 다시 시작하는거 같은데.. 무슨 명령어인지는 잘모르겠네.. #killall mysqld # mysqld_safe --skip-grant & mysql 접속시에 패스워드 없이 접속이 가능. # mysql 이제 들어가 지네.. - mysql> use mysql -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password('new password') where user = 'root'; - mysql> flush privileges mysql root password 를 초기화 하는거라네.. -_- ..
httpd 설정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yum -y install httpd 알아서 설치 다 해주니까~잠시만 기다린담에~ 간단하게 방화벽만 체크해주면 끝~ (콘솔의 경우) lokkit 명령을 직접 터미널에서 입력하면 밑의 그림과 같이 실행된다. /var/www/html/ 폴더에 원하는 html을 넣어주기만 하고 해당 아이피로 들어가면 띠로리~+_+ 완성~ 이제 오라클만...성공하면 되는데 말야..
vsftpd 설정 yum -y install vsftpd 몇가지 설정을 변경했다. vi /etc/vsftpd/vsftpd.conf 최대 접속자수, 사용자수를 조절 한다 max_clients=100 하나의 IP의 최대 접속자수, 숫자를 변경한다 max_per_ip=30 업/다운로드 최대 전송률, 기본이 0 으로 제한이 없다.단위는 bps local_max_rate=0 상위폴더 접근 제한. 기본값이 NO 이므로 반드시!! chroot_local_user=YES -_-잘되는지 확인해볼까? 난 알FTP를 극도로 시러하오니(알쓰리즈를 싫어한다..) FileZilla로 ~ 잘된다~ㅋㅋ 파일의 경로는 /var/ftp/pub로 되어있다.
리눅스 명령어 ipcs , 메모리 관련 함수 그리고 코딩 ipcs 명령은 IPC 상태를 조회하는데 사용된다.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에는 message queue(-q) shared mem(-m) semaphore(s) 의 자원을 사용하는데 이 자원들의 상태를 보여준다.()안은 하부명령어 자원의 반납은 ipcrm(IPC remove)명령. 공유메모리란 원래 하나의 프로세스는 해당 하는 한개(?)의 메모리를 갖는다. 하지만 공유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면 여러 프로세스들이 한개의 메모리를 말 그대로 공유할 수 있게된다. 프로세스가 그 메모리를 쓸때 자신에게 붙이고, 쓰지 않을때는 버리게된다. int shget ( key_t key, int size, int shmflg ); 이 함수는 공유메모리의 id를 리턴하는 함수이다. key는..
fedora ifconfig sevice command not found -_- 대체 왜 않되는거야!!! 버젖이 책과 인터넷엔 그냥 치면 됐된는데~ =-= 허나 않되는 몇몇 리눅스 버젼들이 있단다.. 해결책은~ /etc/init.d/ 폴더에 가서 직접 해당 서비스를 재시작하는거란다. /etc/init.d/network restart 이제서야 되네..-0-쩝.. 허나...이번엔 ifconfig 가 않먹는다..당황스런.. 않깔렸나...install도 쳐봐도...대답없는너.... 다시 뒤적거리다가... root 권한이 단순하게 su 로 들어가서는 가짜 root권한이란다!! 진정한 root권한을 얻을려면 su - root 로 들어가야 한다.!! 근데..telnet을 깔았는데..-0- 왜 않되지? 근데..왜 ssh 는 되지? 졸라신기해..+_+;;